라오콘은 헬레니즘 조각의 걸작품이라고 불립니다. 이 작품이 트로이 후손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라오콘 복원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 작품은 로마에서 농부가 포도원에서 일하다가 발견하였습니다. 이때가 1506년 입니다. 이 작품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포세이돈 신전의 사제입니다.
헬레니즘 조각의 걸작품
라오콘은 헬레니즘 조각의 걸작품입니다. 이 동상의 크기가 무려 2미터가 넘는 크기입니다. 등장 인물도 3명이나 됩니다. 이 동상은 아버지와 두 아들의 조각 작품입니다. 아버지와 두 아들이 뱀에게 물리지 않기위해 필사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입니다. 르네상스 화가 미켈란젤로는 이 조각품을 "예술의 기적"이라고 부르며 감탄했습니다. 이것은 황금 사과에서 시작된 트로이 전쟁의 상징입니다. 10년 동안 트로이의 성문을 열지 못한 그리스 연합군은 병사들을 숨긴 커다란 목마만 남기고 철수했습니다. 당시 트로이의 사제였던 그는 그리스 연합군의 음모를 간파하고 그들에게 목마를 도시로 들여오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하지만 바다의 신 포세이돈이 이 모든 것을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계획이 실패할 것을 걱정한 포세이돈은 라오콘과 그의 아들들을 죽이기 위해 두 마리의 거대한 뱀을 보내기로 결정합니다. 결국 포세이돈이 보낸 두 마리의 큰 뱀에게 물려 두 아들과 함께 사망합니다.이 동상은 뱀의 공격을 받은 아버지와 두 아들의 고통스러운 모습을 조각한 작품입니다. 그리고 이 동상은 가까이서 볼수록 더 강한 인상을 줍니다. 이 군상의 겁에 질린 표정과 그의 근육질 몸, 죽어가는 사람들의 고통스러운 몸부림이 잘 표현되었습니다. 아버지와 작은 두 아들의 대조적인 모습이 더 사실적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군상은 어떤 그림이나 조각보다 걸작입니다.
트로이의 후손
이 군상과 로마의 건국과 관련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아무도 이 라오콘 군상이 박물관에 기록에 나오는 그 작품인지 확신하지 못했습니다. 1500년 동안 아무도 이 작품을 본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율리우스 2세는 발굴 현장 책임자로 미켈란젤로를 선택했습니다. 미켈란젤로는 현장 관리자가 되었습니다. 미켈란젤로와 교황은 조사하면서 이 조각상이 잃어버린 그 작품이라고 확신했습니다. 고대 로마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이 작품을 서로 가지려 했습니다. 왜냐하면 로마 건국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로마 사람들은 자신들이 트로이의 후손이라고 믿었습니다. 로마 건국의 아버지는 트로이의 영웅 아이네이아스입니다. 트로이 왕자 아이네아스가 로마 근처에 정착해 토착 민족과 연합해 로마를 세웠습니다. 아이네아스의 후손인 로물루스와 레무스 쌍둥이 형제가 테베레 강에 버려졌습니다. 이들은 테베레 강에서 건져 늑대 젖을 먹으며 자랐습니다. 그들이 팔라티노 언덕에 로마를 건국한 것입니다. 그들은 트로이아가 멸망한 후 새로운 땅을 찾았습니다. 그는 위대한 트로이아를 건설할 것이라는 신들의 계시를 받았습니다. 그는 트로이아군을 이끌고 마침내 로마를 건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로마와 그 황제의 정당성을 찾기 위해 당시 로마의 지도자들은 이것이 필요했습니다.
라오콘 복원
당시 라오콘 복원은 큰 화제였습니다. 이것은 에스퀼리노 언덕의 포도원에서 일하던 중 우연히 발견한 공중목욕탕 폐허에서 라오콘 조각상이 찾았습니다. 라오콘 군상이 발견되었을 때 라오콘의 두 팔 중에 라오콘의 오른팔이 없는 상태였습니다. 다른 부분들은 좋은 상태였습니다. 1500년 만에 찾은 라오콘이기에 사람들은 사라진 팔을 어떻게 복원할 것인가에 대한 회의를 했습니다. 미켈란젤로, 라파엘 등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이 모여 치열한 논쟁을 벌였습니다. 이때 미켈란젤로는 몸의 움직임과 근육의 모양을 볼 때 팔을 굽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당시에는 아무도 그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결국 팔은 곧게 펴진 모습으로 복원되었습니다. 그러나 놀랍게도 약 500년 후인 1905년에 라오콘 군상의 팔로 추정되는 조각이 로마의 작업장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것은 완전히 구부러진 팔꿈치였습니다. 결국 팔이 구부러진 모형으로 복원하려던 미켈란젤로의 말이 맞았습니다. 미켈란젤로는 역시 천재였습니다. 현재 라오콘 군상은 바티칸 성당 안의 벨베데레 정원에 있습니다.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로드 모네, 인상파, 연작, 지베르니, 오랑주리 미술관 (0) | 2023.01.18 |
---|---|
이중섭 전시회, 소개글, 소와 여인, 은종이화, 가족화 (0) | 2023.01.17 |
라스코 동굴 황소의 방, 석회암 벽화, 엑시알 갤러리, 산종도 암벽화 (0) | 2023.01.15 |
화가 알폰스 무하, 사라 베르나르, 장식 예술가, 애국자 (0) | 2023.01.14 |
임옥상 화가의 일어서는 땅, 흙의 소리, 검은 웅덩이, 새 (0) | 2023.01.14 |